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ISA기사 국내투자형ISA 실린 신문

     

    해마다 세금 관련 뉴스가 나올 때면, "나도 절세 좀 제대로 해봐야지" 하고 생각하면서도 결국 연말정산만 기다리는 분들 많으시죠?
    특히 투자나 저축을 하면서 세금도 줄일 수 있다면 금상첨화인데요, 이런 분들에게 딱 맞는 금융상품이 있습니다. 바로 **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**입니다.

    ISA는 잘만 활용하면 예금, 펀드, 주식 등 다양한 자산을 한 계좌 안에서 운용하면서 세금까지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. 그런데 2025년부터 이 ISA 제도가 크게 개편된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. 오늘은 그 변화가 어떤 의미인지,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    ISA란 무엇인가요?

    ISA는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, 말 그대로 개인을 위한 종합 자산 계좌예요. 이 안에 예·적금, 펀드, 주식, ETF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담을 수 있어요. 간단히 말하면 **'투자와 절세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계좌'**라고 보시면 됩니다.

    기존에도 절세 효과가 있어 금융소득이 많지 않은 분들이나, 장기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에게 꽤 인기가 있었지만, 제도 자체에 아쉬운 점도 있었죠.
    그래서 정부는 2025년부터 ISA 제도를 전면 개편하기로 했습니다. 목표는 간단합니다.
    국내 투자 시장을 활성화하고, 개인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세금 혜택을 제공하자는 거예요.


   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

    ISA 개편 내용은 꽤 큽니다. 달라지는 주요 내용을 하나씩 살펴볼게요.

    1. 납입 한도 두 배 확대

    • 기존엔 연간 2,0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었는데
      2025년부터는 연간 4,000만 원, 총 2억 원까지 가능해집니다.
      투자 여력이 큰 분들에게는 굉장히 좋은 변화죠.

    2. 비과세 한도 확대

    • 지금은 2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었지만
      앞으로는 500만 원까지 비과세로 전환됩니다.
      같은 수익을 내도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거죠.

    3. 국내투자형 ISA 신설

    • 새로운 ISA 유형이 하나 생깁니다. 이름은 국내투자형 ISA.
    • 이 계좌는 국내 주식과 주식형 펀드에만 투자할 수 있어요.
    • 대신 비과세 한도가 무려 1,000만 원까지로 확대됩니다.
      국내 기업에 장기 투자할 사람들에게는 꽤 매력적인 옵션입니다.

    4.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도 가입 가능

    • 지금까지는 일정 소득 이상이면 가입이 제한되거나 혜택이 줄어들었는데
      → 2025년부터는 고소득자도 가입 가능. 다만, **비과세가 아닌 분리과세(15.4%)**로 적용됩니다.
      다른 금융소득과 합산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, 절세 측면에서는 여전히 의미가 있어요.

    ISA 절세 효과, 실제로 얼마나 될까?

    예를 들어, 해외 주식 ETF에 투자해서 1,500만 원 수익을 냈다고 가정해 볼게요.

    • 일반 계좌에서는 15.4% 세율이 적용돼 231만 원 세금을 냅니다.
    • 현재 ISA 계좌 기준으로는
      • 200만 원 비과세 → 나머지 1,300만 원에 대해 9.9% 세율 적용
      • 결과적으로 약 128만 7천 원 세금 납부약 100만 원 절세
    • 2025년 개편 ISA 기준으로는
      • 500만 원까지 비과세 → 나머지 1,000만 원에 9.9% 세율 적용
      • 결과적으로 약 99만 원 세금 납부약 130만 원 절세

    같은 수익인데 세금 차이는 이렇게 크다는 거, 이게 바로 ISA의 힘입니다.


    ISA, 어떻게 활용하는 게 좋을까?

    단순히 가입만 한다고 절세가 되는 건 아닙니다. 제대로 활용하려면 몇 가지 전략이 필요해요.

    1. 장기 투자 전제로 가입하기

    ISA는 3년의 의무 가입 기간이 있어요.
    이걸 채우지 않으면 비과세나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    단기 투자를 목적으로 하신다면 ISA는 적합하지 않아요.

    2. 비과세 한도 적극 활용하기

    국내투자형 ISA라면 1,000만 원까지 비과세, 일반형은 500만 원까지죠.
    이 한도를 넘기지 않도록 조절하면서 꾸준히 수익을 실현하면 실제 수익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.

    3.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분리과세 활용

    연 소득이 높아 다른 금융소득과 합산되면 세율이 크게 오르잖아요?
    ISA를 활용하면 그 수익을 분리과세로 묶을 수 있어서 세금 폭탄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
    ISA, 어떤 점은 조심해야 할까?

    혜택이 크다는 건, 반대로 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불이익도 있다는 뜻입니다.

    • 중도 해지 시 세금 부과: 3년을 채우기 전에 해지하면 세금 혜택은 없습니다.
    • 수익금 중도 인출 불가: 원금은 뺄 수 있지만, 수익금은 해지할 때만 인출 가능해요.
    • 한 계좌만 보유 가능: 1인당 1 ISA 계좌 원칙. 여러 금융사에서 동시에 만들 수 없습니다.
    • 해외 ETF 직접 투자 불가: 해외 상장 ETF는 ISA 대상이 아니에요. 국내 상장 ETF만 가능.

    ISA의 장점 요약

    • 세금 절감: 비과세 한도 내 수익은 세금 없음, 초과 시에도 분리과세로 유리
    • 손익통산 가능: 같은 계좌 내 손해와 수익을 합산해 세금 계산
    • 과세 이연 효과: 매매 때가 아닌 해지 시 세금 납부, 그동안 수익 재투자 가능
    • 연금계좌 전환 시 세액공제: 만기 후 연금계좌로 전환하면 최대 10% 추가 세액공제
    • 이월 납입 한도 활용: 한 해 납입을 다 못 채우면 다음 해로 이월 가능

    마무리하며

    2025년 ISA 제도 개편은 단순한 조건 변경을 넘어, 개인 투자자의 세금 전략에 큰 영향을 줄 변화입니다.
    지금까지 ISA를 잘 몰랐거나, “그냥 예금보다 나은 정도겠지”라고 생각하셨다면 이번 기회에 진지하게 고려해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.

    ISA는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흔치 않은 금융상품입니다.
    국내 주식 투자나 펀드 운용을 생각하고 있다면, 2025년 새롭게 바뀌는 ISA를 잘 활용해 보세요.
    투자 수익도, 세금 부담도 모두 관리할 수 있는 똑똑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
    반응형